설사의 원인
Corona virus : 2~8주령, 고령우, 급격한 기온의 저하나 심한 일교차 일때 발생 유황색 수양변
→ 점혈변 및 위막 혼입
BVD virus : 1주일 정도의 잠복기와 고열과 이장열, 백혈구감소증, 혈변 등의 증상을보임. 점막병형, 발열형, 설사형 등이 있음
E coli : 내부 장기 속으로 체액과 전해질을 빠른 속도로 배출시키는 독성 물질을 분비한다.
E. coli 설사는 노란색을 띄는 흰색변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산중독증 설사의 특징은 구토, 메스꺼운 땀냄새가 나는 호흡, 눈에 보이는 장애들이 있다.
Salmonella : 6개월령 이하(특히 유약기인 1개월령이하), 40~41℃ 발열, 황회백색 수양변 → 젤리상의 점액의 혼입된 설사, 장점막박리편배출, 신경증상
Cryptosporidium : 장기의 외부 표면에 붙어 소화 흡수하는 작용을 하는 섬 모들의 정상 기 능을 저하시켜 설사를 발생시킨다. 감염된 송아지는 식욕 을 잃게 되고 체중이 감소하며 설사가 동반된다.
Coccidium : 24주령, 카탈성 장염, Eimeria zuernii 와 E.bovis가 주원인 혈변, 이급후증, 탈항 단핵 세포인 Coccidia에 의한 것으로 내부 기관 세포를 파괴시킨다. 그 결과로 혈액, 수분, 전해질들이 빠른 속도로 내장 속으로 들어가 설사를 유발하는데 간혹 꼬리 부분에 검붉은 피자국이 나타난다.
설사의 분류와 발생기전
1. 수양성설사 (watery diarrhea) :
수분과 전해질의 흡수불량 또는 분비항진에 의한 설사
1) 분비성 설사 (secretory diarrhea) 00
(1) 감염성 장염의 설사 : 감염에 수반되는 설사로 발열을 일으킴.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이 장관에 감염되어 장벽에서 수분을 뺏김)
① 세포침습형 : 세균, virus, 진균, 어떤 종의 기생충 등이 세포내로 침입 → 장점막에 손상 → 설사
② 독소형 : 세균독소 +소장상피세포표면 receptor → 세포내의 adenylcyclase 의 활성자극 → cAMP의 증가
→ Na+의 흡수불량과 Cl¯ 및 수분의 분비과 잉에 의한 설사
대장균 : 물같은 설사변( 회백색, 백색, 황색)으로 부패취가 나고 탈수에 의해 폐사하는 경우도 있다.
살모넬라균증: 황색 수양성의 악취변, 점혈변을 나타내고, 탈수에 의해 사망한다.
로타 바이러스: 유백색의 물과 같은 설사(수양성 갈색)
코로나 : 감염된 개체는 2~4일 사이에 응고된 우유 또는 탈락된 점막조직이 혼재된 심한 황색의 수양성 설사
콕시디움증: 다갈색의 오니 상태 의 설사, 중증인 경우는 점액성 혈변이 된다.
크립토스포리지움증:황색 물과 같은 것에서 백색 점성 설사가 특징이다.
유두분선충증: 돌연사(포크리병)의 원인되는 기생충인데 감염의 정도가 약한 경우는 설사를 일으킨다.
(2) 비감염성 장점막상해의 설사 : Allergy성 위장염, 중독성위장염, 허혈성 장염, 요독증, 항생제 기타 장점 막 손상(염증, 궤양)에 의하여 발생
*소화 불량이나 심한 장운동에 의해서 섭취한 수분이 장관을 통해 흡수되지 않아 탈수증이 되는 것이다.
(3) 지방산에 의한 설사 : 장관내 잔존 미흡수 지방산이 세균에의해 수산화 지방산으로 변화 → 대,소장의 Na+와 수분의 흡수를 저해, 분비 촉진하여 설사 유발
(4) 담즙산 설사 : 소장손상시 세균의 이상증식으로 포합 담즙산이 탈 포합되어 지방흡수과 정에서 micelle형성저해, 흡수 불량 → 세균에 의해 소장내 저급지방산 농 도 상승 → 장상피세 포의 cAMP높여 수분과 전해질의 과잉분비 초래
(5) 내분비유래의 설사 : secretin, calcitonin, glucagon, gastrin, 소장성혈관작 peptide, gastric inhibitory polypeptide
→ 소장분비자극 또는 소장의 흡수를 억제 : 췌장 또는 췌장 이외의 종양과 관련하여 수양성 설사 발생
→ 소장혈관작 용 peptide 가 작용물질
2) 삼투압성 설사 (Osmotic diarrhea)
약제의 복용이나 식이의 내용에 따라 장관 내에 비흡수성 물질이 과잉으로 존재하거나, 흡수가 지연되어 용질이 잔존하여 하부소화관에서 발효이상이 일어나면 장관내의 삼투 압 상승하고 수분의 분비를 야기하여 설사 유발
3) 이온교환장애에 의한 설사 :
선천성, 후천성 Cl¯ 설사증시 회장에서 Cl¯과 HCO3¯의 교환 장애에 의해 설사 유발
4) 장통과시간의 이상에 의한 설사
(1) 장 통과가 느린 경우→ 장협착, 게실, 맹관, 당뇨병 시 식이내용의 정체, 장의 운동저하 에 의해 세균의 증식 → 수산화지방산과 비포합담즙산에 의해 설사 유발
(2) 장 통과가 빠른 경우→ 갑상선기능항진증과 과민성장증후군에서 장 운동항진에 의해 소 화흡수가 불충분하게 되어 장내용이 증가 → 통과를 빠르게 하여 설사 B.
2. 지방성설사 (Fatty diarrhea)
지방의 소화흡수 불량으로 생긴 수산화 지방산에 의한 설사
3. 세변성설사 (small stool diarrhea)
결장이나 직장의 자극상태에 따라 소량, 빈회의 배변을 보는 것
설사치료
원인치료
Virus : 유효한 치료법 없음, 광범위 항균제 투여 → 세균의 2차 감염 방지 세균: 평상시 항균제 사용 줄여서 내성균 발생을 억제 Coccidium : Amprolium 또는 Sulfa 제 유효
대증요법
수액 요법
-경구투여, 정맥투여, 에너지원 보급과 전해질의 보액 PCV나 총혈청단백질 농도측정,
안구함몰정도나 피부 추벽 검사 →수액량 결정 거의가 대사성 산증 → 혈장탄산염 저하, 저나트륨혈증 등장 식염수, 5% 포도당액에 등 장중탄산용액(1.3%)의 등장 혼합액 사용
식이의 변경
-24시간 정도 절식, 모유보다는 포도당-전해질 혼합액 경구투여 발생 시의 관리: 이환동물 격리
탈수, 산성증 - 물과 전해질 보충 /경구 투여 및 정맥 주사
영양소 부족 영양소 -(아미노산, 비타민 등) 보충
체온 저하 -송아지 보온 (보온등 사용 등) /따듯한 수액으로 정맥 주사
장운동 항진 -장운동억제제 투여
*치료실폐의 원인
- 부정확한 진단에 의한 치료 바이러스성 설사
-저단백혈증에 의한 설사
-콕시디움의 경우 등에 정확한 치료제의 선택이 중요
-과잉치료 (부적절하게 최근에 개발된 항생제의 투여로 차기치료의 어려움)
-면역억제제의 투여( Prednisolone, dexametason 등 면역억제제 그리고 면역억제제가 들어있는 합제의 투여)
.....
참고:송아지 설사의 원인과 치료 이경갑 교수 (제주대 수의대 내과학교실) ,송아지 설사병에 의한 피해를 줄이자 농림축산검역본부 문진산 박사,
'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아지 피설사,송아지혈변,송아지 콕시듐,송아지 치료 및 예방 (0) | 2023.05.06 |
---|---|
한우 관리 방법 (0) | 2023.04.24 |
송아지 설사,송아지설사예방,송아지설사가이드,송아지 설사 진단 (0) | 2023.04.08 |
축산과학원·기술 선도 농가 한우 산업 위기 극복 힘 모은다(사료비 절감 위한 우수사례 발표회 ) (0) | 2023.03.31 |
농장에서 식탁으로 (0) | 2023.02.16 |
댓글